부모 싸움이 자녀들의
우울증 발병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교수팀(정신건강의학과)은 우울증 환자들에게 성장기였던 아동 및 청소년 시기에 `부모의
싸움을 본 경험`이 일반 보통사람들보다 눈에 띄게 많은 것을 확인하고,
이들 환자군의 우울증 발병에 있어 부모의 불화가 중요한 `생애초기 스트레스`(early life stress) 요소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석정호 교수팀은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30대 초반 우울증 환자 26명(남 7명.여 19명)과 같은 연령대 및 성별의 정상인과 비교 조사한
결과, 우울증 환자군이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
성적 학대, 부모 싸움 노출` 등 5가지 주요 생애초기 스트레스 요소가 모두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가운데 부모 싸움을 경험한 요소의
점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인 것을 확인했다. 이는 부부싸움을 둘 사이만의 문제로만 여기고
자녀들이 엄마와 아빠의 싸움을 보는 것이 큰 심리적 충격이 안 될 것이라는 일반적 생각과 달리 상당한 정신적 외상(Trauma)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대목이다.
석정호 교수는 "아이에게 주의력 부족이나
학습부진, 심한 투정, 야뇨증,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뜯기,
틱(Tic)장애,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대인관계 문제 등의 정서불안과 관련한 행동이 나타난다면 부모 자신들의 다툼으로 인한 것은 아닌지 꼭 생각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부모불화로 인한 자녀들의 정신적 외상이나 나아가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석정호 교수는 `회복탄력성`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한다.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외부적 상황 혹은 내면으로부터 시작된 어려운 과제나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조기에 평정심을 유지하고 회복시키는 힘으로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심리적 긍정성 등의
요소가 포함된 개념이다. 최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석 교수는 "오랜 부모 불화를 겪은 자녀들은 성인들이 되어서도 왜곡된 남녀관과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 정상적인
가족생활에 대한 기대를 일찍 포기하기 쉽다"며 "부부싸움
시 자녀들이 보지 못하는 장소에서 해소하는 `부부생활의 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news.mk.co.kr
'육아 도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의바른 아이로 키우는 법 (0) | 2014.10.23 |
---|---|
성별이 다른만큼 성향도 다르다!_남매육아 (0) | 2014.10.23 |
지치고 바쁜 아빠를 위한 10분 육아 (0) | 2014.10.23 |
아이에게 득이 되는 말 vs 독이 되는 말 (0) | 2014.10.23 |
아빠와 아이의 놀이시간 (0) | 201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