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도움글2014. 10. 23. 09:24

어르고 달래고 화를 내도 안 되는 고집쟁이·떼쟁이의 버릇 고치기 전략!

 

집에서건 외출해서건 한번 떼를 쓰면 멈추지 않는 아이. 아이가 좋아하는 사탕을 내밀며 당근 작전을 쓰고, 어르다 어르다 약이 올라 소리를 지르며 화도 내보지만 소용이 없다. 오히려 아이의 떼쓰기가 더 심해지면 머리를 땅에 박으며 자해하거나 어디서 배웠는지 "엄마 죽어, 꺼져" 같은 나쁜 말을 하기도 한다. 이럴 때 엄마에게 필요한 건? 바로 '무시하기'.

감정 조절에 능한 아이로 키우려면 엄마가 아이를 '무시'해야 할 때도 있다


아이가 심하게 떼를 쓸 때 엄마가 무조건 져주거나 화를 내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면 아이의 떼쓰기를 더 자극할 뿐이다. 물론 아이가 안쓰럽고 주변 사람들의 눈초리가 부담스러워 쉽지 않지만 마음을 단단히 먹고 무시하기를 실천해보자. 아이가 단순히 엄마 말을 듣지 않는다고 아무 때나 무시하기에 돌입해선 안 된다. 반복해서 심하게 떼를 쓸 때, 머리를 벽이나 바닥에 박으며 자해할 때, 숨을 안 쉬고 참을 때, 구석에 가서 숨어 있을 때, 나쁜 말을 할 때 등이 아이를 무시해야 할 때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떼를 쓰면 낮은 목소리로 "엄마는 **가 이렇게 떼를 쓰면서 말하면 들어줄 수 없어"라고 말한 후 아이의 행동에 반응하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무시하기'를 잘 활용하면 아이는 이렇게 떼를 써봤자 엄마가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포기하게 된다. '무시하기'는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줄 뿐 아니라 부모의 과도한 감정 표출을 예방할 수 있다. 당장은 힘들지만 멀리 보면 육아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아이와 부모 모두 편안한 감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
무시하기'를 한 후에는 아이를 꼭 안아준다

아이의 흥분이 가라앉은 다음에는 아이를 꼭 안아주며 잘잘못을 찬찬히 설명해준다. 잘못된 행동을 고쳐야 하기 때문에 그냥 내버려둔 것뿐이지 엄마가 변함없이 아이를 사랑한다는 것을 꼭 설명한다. 간혹 엄마의 무시하기에도 좀처럼 화를 가라앉히지 못하거나 심하게 불안해하는 아이가 있는데, 이런 경우 더 세심하고 반복적으로 엄마의 마음을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맘앤앙팡

'육아 도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근 후 아이와 놀아주는 아빠놀이법  (2) 2014.10.23
부모의 불안 이해하기  (0) 2014.10.23
아빠표 훈육법  (0) 2014.10.23
천하무적 슈퍼대디  (0) 2014.10.23
예의바른 아이로 키우는 법  (0) 2014.10.23
Posted by 세월의돌